love yourself
최진기의 경제상식) 경제학 기초, 금리인상, 금리의 상승과 하락, 저금리 고금리, 장단기금리 본문
오늘은 최진기의 경제상식 이라는 책을 리뷰, 요약해볼 건데요!
어려운 경제상식을 고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쉽게 설명하여 좋았습니다.
10분 공부로 내 돈을 지키는 지식과 경제를 읽는 혜안을 길러 보아요!
- 금리란?
이자는 돈을 빌려준 대가로 받는 것으로 돈의 가격을 말합니다. 이자율, 즉 금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이지요.
- 금리의 상승과 하락
일반적인 금리 수준은 돈의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받습니다.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늘어나면 금리는 오르고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줄면 금리는 내리지요.
또한 금리는 경제 상황이나 정부정책, 환율 등 많은 요인에 영향을 받아 오르내립니다.
하지만 돈의 수요와 공급이 어떻게 되는지를 차분히 생각해보면 금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워밍업으로 연습을 해보면 다음과 같은 상황에 금리가 오르게 됩니다.
1. 기업이 설비투자를 위해 돈을 구하느라 난리일 때
2. 아파트 가격이 계속 올라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들의 대출이 늘어날 때
3. 물가가 크게 오를 때
- 저금리와 고금리
은행의 예금금리가 1%대의 저금리 시대라고 가정합시다
올해 물가가 매월 2% 이상 오르고 있고, 은행에 예금하고 1% 이자를 받아봤자 물가를 감안하면 손해입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금리가 낮으면 대체로 돈의 가치를 보전하기위해 주식, 펀드, 부동산, 등에 투자를 하므로 이들의 가격은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식,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사람들이 대출을 해서 투자를 하기 위해 더 몰려들고 그러면 가격은 더 오르게 됩니다.
저축하는 사람은 별로 없고 투자를 위한 대출은 늘어나니 시간이 경과하면 금리가 슬슬 오르게 됩니다.
한편
이자가 낮아 은행에 저축하기 보다는 소비를 더 하게 되고 소비가 활발해지니 기업의 생산도 증가합니다
또한 기업은 대출이자가 싸니 돈을 빌려서 투자를 늘리고 생산도 늘리게 됩니다. 그러다보면 돈의 수요가 증가하니 다시 금리가 슬슬 오르게 됩니다.
금리가 크게 올라 8%가 되었다고 가정합시다.
이자가 매우 높으므로 위험부담이 높은 주식투자 보다는 안전한 은행예금에 돈이 몰립니다.
주식이나 부동산을 사려는 사람이 줄면서 가격이 떨어지고 돈은 주식이나 부동산 등에서 예금이나 채권쪽으로 흐르게 됩니다.
한편
기업은 대출이자가 비싸므로 투자와 생산 증가를 꺼리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돈을 빌리려는 측이 줄어 금리는 다시 내리게 됩니다.
즉, 고금리 시대에는 대체로 돈이 예금과 채권으로 저금리 시대에는 주식 부동산 원자재 등으로 흐르게 됩니다.
'econom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꾸준한 채권 이자수익을 내는 방법 ( 채권투자 핵심노하우, 마경환) (0) | 2019.09.30 |
---|---|
국내채권 vs 해외채권 차이 ( 채권투자 핵심 노하우, 마경환 ) (0) | 2019.09.27 |
채권투자 수익, 채권투자 시기 (채권투자핵심노하우-마경환 저서 리뷰, 요약) (0) | 2019.09.26 |
채권투자 핵심노하우 - 마경환 ) 주식 VS 채권 차이 (0) | 2019.07.11 |
카이스트 미래전략연구소 ) 저성장 고령화 시대, 금융의 미래 전망과 전략 (0) | 2019.07.11 |